물류비를 작성해 보거나 작성된 내용을 검토해 본 경험이 있는 물류인들 이라면
한번쯤은 이러한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이 항목은 어느 영역(조달, 사내, 판매)으로 배분해야 하지?
-판매물류비를 어디서 어디까지로 봐야 하지?
-이게 직접비야 간접비야?
-고정비가 높은데 이게 맞는 자료인가?
-이 분석자료의 근거는 뭐지?
-1센터와 2센터의 생산성 비교를 어떻게 하지?
등등 말이다. 공감하시나요? 공감 하시는 분은 아래 계속 읽어 보세요.
현실의 물류비 작성은 아직도 대부분이 담당자의 주관에 의해 작성되어진다.
전체 물동량이나 금액은 맞을지 모르나 이것을 기능별, 영역별 등으로 세분화 하는 과정에서
오류 아닌 오류가 발생한다.
이유는 배분항목의 표준화된 명칭과 정의가 회사차원에서 작성되어 있지 않고
설사 작성되어 있다 하여도 관련 담당자들이 관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리고 팀의 성과를 좋게 표현하기 위해 잘못된 부분을 축소하거나 비용배분을 다르게 하는 작성법으로
의사결정권자의 시각과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분석결과는 잘못된 개선방안이 만들어 질것이고
기여도가 높은 개인이나 팀을 잘못 선정하여 불신의 씨앗이 되고 이는
회사의 미래를 어둡게 하는 가장 중요한 원인 중에 한가지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정확하고 객관적인 물류비 산출로 정확도 높은 분석을 할 수 있을까?
궁금하시나요? 그러면 쭉~~ 끝까지 읽어 보세요.
왜곡되지 않는 물류비 산출을 위해서는
첫째 - 회사별로 물류비 항목 명칭을 표준화 하고 정해진 명칭에 대해 뜻, 기준, 범위 등을 정의한다.
둘째 - 개인, 팀, 센터 간에 생산성 기준 과 범위를 정의한다.
세째 - 첫째와 둘째 기준에 따라 일간, 주간, 월간, 년간 등 기간에 따른 운영일지에 대한 표준서식(프로그램)을 만든다.
넷째 - 운영일지에 근거를 둔 Data를 기준으로 하는 보고서 서식을 표준화(개인, 팀, 센터 모두) 한다.
다섯째 - 첫째부터 넷째까지 표준화 하고 정의한 내용을 모든 직원이 숙지 하고 실무에 적용 할 수 있도록 반복 교육한다.
위 사항을 모두 실천하면 정확하고 객관적은 물류비를 산출하고 보고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일반기준물류비 항목과 정의를 설명하고 항목별 물류비 작성 서식에 의한 분석그래프까지 자동 생성되는 파일을
첨부합니다. 실무에 꼭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본 첨부파일은 샘플이며 서식은 자료실에 있습니다. (빠름빠름 ☞ 일반기준물류비 서식 바로가기)
또한
위 내용이 공감되어 회사에 적용하고 싶은데 위 내용과 첨부된 설명으로도 안 된다면
물류통에 의뢰하세요. 요기 메일로 ☞ Mail : kyjkya@hanmail.net
문의 하시면 의뢰자의 환경에 맞게 서식 작성대행 및 운영혁신 컨설팅을 해 드립니다.
-물류통-
'물류 정보 > 물류혁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피(cbm)를 물류실무에 적용하면 돈이 보인다. (0) | 2014.05.11 |
---|---|
사내 용어 표준화만 해도 혁신된다. (0) | 2014.05.11 |
물류센터 신규운영 고려사항 (0) | 2014.05.11 |
보고서 한장으로 작성하라! (0) | 2014.03.25 |